본문 바로가기

스타없는 영화도 만들어야

반응형

경계해야 한다 스타권력화!

 

배고픈 시나리오 작가, 적자에 허덕이는 제작자들, 입봉만을 기대하는 수많은 감독지망생들, 좃같아도 영화가 좋아서 매달리는 스탭들.

 

이들과 달리 점점 더 거대해지는 스타들의 권력들.

 

8월 둘째주 극장가는 신하균이라는 '스타'배우가 독점을 했다. 신하균은 <웰컴투동막골>, <박수칠 때 떠나라>라는 걸출한 상업영화에 주연배우를 맡았다. 동막골과 박수는 지난 주 주말 박스오피스 1,2위 하고 평단사이에서도 호평을 받아 앞으로도 흥행세가 멈추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동막골과 박수는 걸출한 상업영화다. 내가 말하려는 건 영화에 대한 평가가 아니라 신하균이라는 스타의 거대화다. 비단, 신하균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빅3(송강호, 최민식, 설경구)를 비롯한 이름만 들어도 영화볼 가치가 있다는 그런 영화배우들을 총칭하고 싶다.

 

영화는 종합예술이다. 감독, 배우등 눈에 보이는 사람 뿐만 아니라 수많은 사람들이 피땀흘려서 만드는 예술이다. 그러나 모든 사람들의 땀과 열정등이 인정 받아야 하는 마당에 배우제외한 다른 영화제작구성원의 처우는 점점 열악해진다는 소리가 많다. 제작현장에 있지 않은 관객의 입장으로 봐도 열악해질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아무리 한국영화의 르네상스를 거쳤다해도 그건 몇몇 영화의 초대박흥행세로 인한 불꽃놀이일 뿐, 밤하늘은 아직도 밝아지기엔 어려움이 많다.

 

매번 유명감독만 이름을 내놓고 유명배우만 옷만 갈아입으면서 여러영화에 겹치기 출연을 하고 있다. 이건 관객뿐만 아니라 배우에게도 치명적인 피해를 입는 상황이다. 관객은 같은 배우가 여러영화에 출연하면 우선 영화에 대한 이야기몰입이 힘들다. 이건 다른 영화에서 킬러역할을 했던 배우을 보다가 다른 스크린에서는 순정파역할을 하면 아무리 영화는 극이라 할지라도 영화에 완전히 몰입하긴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배우에게도 피해가 간다. 배우는 흥행세를 타 다작을 한다면 일시적으론 좋겠지만 장기적으로 봤을 땐, 배우에 대한 가치이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배우는 연기력도 중요하지만 이미지, 얼굴도 굉장히 중요하다. 아무리 잘생기고 멋진 얼굴일지라도 매일 보면 지겨운 법, 어느정도 공백을 가지고 작품활동을 하는 게 필요하다. 가수들의 재충전도 이런 맥락이 아닐까 생각한다. 또한, 천재성있는 배우라 할지라도 캐릭터에 몰입에 가는 시간도 필요할텐데 다작을 하고 겹치기 출연을 한다면 과연 그 캐릭터에 완전한 몰입이 가능할까도 의문이다.

 

가장 경계해야될 점은 스타권력화이다. 얼마 전 이슈가 됐던 제작사와 배우들간의 마찰은 합의점을 찾았다고 보도됐다. 언론에 보도된 합의내용은 너무나 추상적이며 원론적인 문제여서 실효성이 있을지는 의문이다. 이렇게 제작자들과 배우들이 '감정싸움'을 벌였을 정도로 스타는 거대해지고 있다. 이는 단순히 스타배우만의 문제는 아니라고 본다. 영화제작의 구조적인 문제라고 본다. 우선 투자자들은 스타의 유명세만을 믿고 스타가 없다면 투자를 잘 안하려한다. 그래서 스타없는 영화는 제작되기 힘들고 제작되서 극장에 내걸리는 것만으로도 '뉴스'감이 되곤 한다. 곧 영화안에 스타가 없다면 앙꼬없는 찐빵이란 공식처럼 익숙해져만 가는 것이다. 배급되는 영화가 스타가 껴있는 영화이기때문에 관객도 스타에 자기도 모르게 익숙해지고만 있다. 그렇다면 관객도 '익숙해진' 스타가 있는 영화를 찾게 될테고 제작자과 투자자들은 안정된 '스타영화'만을 만드는 순환이 계속 될 것이다. 그때, 우리는 초등학교와 중학교때 지겹도록 들었던 독점의 폐해를 경험하게 될 것이다. 스타에 익숙해진 우리, 스타가 없으면 제작이 불가능한 제작시스템에서 스타배우들은 얼마든지 자기요구를 할 수 있는 상황이 될 수 있다. 그때야 말로 스타배우를 쓰기엔 요구가 너무 많고 배우층이 너무 얇아 다른 배우를 찾긴 하늘에 별따기고 어쩔 수 없이 스타들의 요구를 들어줄 수밖에 없는 상황이 오게 된다. 그렇게 되면 스타들의 요구가 크면 클수록 한정된 제작비에서 피해를 입는 건 힘없는 영화스탭들이 될 수 있고 다양하지 못한 영화만 보게 되는 관객일 수도 있다.

 

지금의 한 배우가 주연인 두 영화의 박스오피스 1,2위 독점은 한국영화 배우층이 얇다는 것을 보여주는 어쩌면 부끄러운 일일지도 모른다. 단순히 배우의 역량이 높다는 것만 판단해선 안된다. 지금부터라도 영화제작사들은 다양한 감독과 배우, 작가들에게 기회를 줘야 한다. 단기적으론 이익이 없을지 몰라도 장기적으로 볼 땐 그것만이 우리 영화계가 살 길이고 발전할 수 있다고 본다.


2005/08/16 00:20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0&oid=028&aid=0000123188

반응형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행하는 카메라에 후원했습니다.  (0) 2016.02.15
나의 '건축학개론'-2  (0) 2016.01.21
익숙함이란?  (0) 2014.02.12
스물여덟, 양자적 요동상태  (0) 2014.02.12
참 늦은 밤에 삶은 계란  (0) 2014.02.11